반응형
반응형
미니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전에 배웠거나 사용했던 기술들을 꺼내쓰면서 해봤던 시간이였다. 확실히 시간이 지나면 많이 잊혀져서 꾸준히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들게되었고 만만치않았지만 다시 학습에대한 열정이 슬슬오는것이 기분이 좋은 시작이되었던것같다
학습 후기 마지막까지 진도율 전부 완료하고 배운점을 나열해보려한다. HTML,CSS,js 와 react 를 배우는과정속에서 기초를 다시 복습하는 시간이 되어서 도움이 됬고, 마지막 파이널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클론코딩이 아닌 직접 만드는 프로젝트였기때문에 생각할것도많고 , 기능구현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꽤나 힘들었다. 다만 힘든만큼 얻는것이 많은 작업이였으며 , 짧은시간에 많은것을 얻는 시간이였던것같다. 파이널 프로젝트 react를 통해서 미세먼지 알려주는 웹페이지를 제작하게되었는데 복잡한 작업이 아님임에도 초보자 입장에서는 꽤나 어려운 작업이였다. 다만 하나하나 스스로 해결할때마다 얻어가는것이 많았다. 프로젝트시 어려움을 격는 부분이있었다. 프로젝트 시 드롭다운메뉴를 통해서 지역을 선택하는 컴포넌트를 ..
학습현황 node.js 와 리액트 공부하느라 강의는 거의 듣지못했지만 다행이 학습 완료했다. 7주차 느낀점 redux강의를 듣는데 redux는 다른 서적을통해서 공부해야할것같다 강의를 들으면들을수록 복잡해지는 느낌이고 정리가 안된다. 간단하게 어떤 흐름인지정도만 가볍게 학습하고 마지막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모르는게있으면 그때그때 찾아가면서 학습하려고한다. 클론코딩 이 좋다 나쁘다? 클론코딩의 목적은 좋은것같다 개발에대해서 체험하고 흥미를 붙여나갈수있다는 점에서는 다만 결국 그게 그사람에 실력에 성장을 줄수있는가 를따졌을때는 아니라고생각한다. 클론코딩을해본사람이라면 다들공감하겠지만 클론코딩을 마치고 다시 처음부터 해보라고하면 할수있는사람이 있을까 싶다. 결국은 클론코딩을 보지않고 다시시작하려면 스스로생각하..
학습현황 영상 강의 진도는 95프로까지 나갔으며, react 기초 부분들 책과 유튜브를 보며 다시 복습하고있다. 거의 기초는 다잡은것같고 응용하는부분에서 이해가 덜되는부분을 위주로 학습을 진행하고있다. 특히 useRef 학습방법에대한 생각 동영상 강의를 통해서 학습을 진행하는게 효율적인가? 도서를통해서 하는게 효율적인가 ?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지만 개개인마다 다 다르다고 생각하기에 정답은없다고 생각한다. 나또한 동영상 강의가 적합하다고 생각했지만 코로나때문에 비대면수업을 해본 사람입장에서는 크게 집중하는데 도움이 되지않는다 생각한다. 비대면과 대면수업의 차이는 정말 크다고생각하는데 도서로 공부하는게 나한테는 오히려 집중을 못할거라고 생각했다 근데 이번에 동영상강의와 도서를 구입해서 학습을했을때 오히려 도..